폰토 왕 미트리다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폰토 왕 미트리다테》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14세에 작곡한 3막 오페라로, 장 라신의 비극을 바탕으로 비토리오 아마데오 치냐 산티가 이탈리아어 대본을 작성했다. 이 오페라는 폰토스 왕 미트리다테 6세와 그의 아들들, 그리고 로마와의 갈등을 배경으로 하며, 미트리다테, 아스파시아, 시파레, 파르나체 등의 인물들이 등장한다. 줄거리는 님파이온 항구 주변을 배경으로, 미트리다테의 귀환과 그의 아들들 간의 갈등, 그리고 로마와의 대립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1970년 초연 이후 여러 차례 음반 및 영상으로 제작되었으며, 다양한 지휘자와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 라신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작품 - 이폴리트와 아리시
장-필립 라모의 오페라 《이폴리트와 아리시》는 1733년 파리에서 초연되었고, 라신의 희곡을 각색한 대본과 라모의 혁신적인 음악으로 "라모파"와 "륄리파" 논쟁을 일으켰으며, 초연 후 개정을 거쳐 재공연되다가 20세기에 재조명받아 라모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오페라 - 마술피리
《마술피리》는 모차르트가 작곡하고 쉬카네더가 대본을 쓴 징슈필 형식의 오페라로, 타미노와 파미나의 사랑을 통해 지혜와 어둠의 대립을 그리며, 프리메이슨의 상징과 계몽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아 밤의 여왕, 파파게노 등의 인물과 유명한 아리아를 특징으로 한다.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오페라 - 피가로의 결혼
피가로의 결혼은 모차르트와 다 폰테가 합작한 오페라로, 보마르셰의 희곡을 원작으로 하여 귀족의 허영과 하인들의 지략을 코믹하게 그린 작품이며, 1786년 빈에서 초연되었다.
폰토 왕 미트리다테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오페라 세리아 |
작곡가 | W. A. 모차르트 |
언어 | 이탈리아어 |
원작 | 장 라신의 미트리다테 |
초연 날짜 | 1770년 12월 26일 |
초연 장소 | 테아트로 레조 두칼레, 밀라노 |
2. 역사적 배경
이 오페라의 등장인물인 미트리다테는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에 등장하는 아나톨리아의 폰토스 왕 미트리다테스 6세를 가리킨다. 미트리다테스 6세는 로마 내부 항쟁을 틈타 소아시아 일대에 세력을 넓히고 로마의 동방 지배에 도전하여 3차례 전쟁을 벌인 인물이었다.
2. 1. 폰토스 왕국과 미트리다테 6세
미트리다테는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 속 마리우스나 술라 전기에 등장하는 아나톨리아 반도의 폰토스 왕 미트리다테스 6세(기원전 120년 - 기원전 63년)를 말한다. 미트리다테스 6세는 로마 내부의 항쟁을 틈타 소아시아 일대에 세력을 넓히는 동시에 로마의 동방 지배에 도전하여 3차례에 걸쳐 전쟁을 벌인 인물이었다.2. 2. 모차르트와 오페라 작곡
1770년 7월 27일, 14세의 모차르트는 볼로냐에서 당시 오스트리아령이었던 롬바르디아 지방 총독부 장관 핌미안 백작에게 리브레토를 받았다. 같은 해 9월 29일 볼로냐에서 서곡과 레치타티보 작곡에 착수했다. 10월 18일 밀라노에 도착한 후, 가수들의 주문을 들으면서 본격적으로 작곡을 진행했다. 12월 말에는 전곡이 완성되었고, 12월 26일 밀라노 궁정 극장에서 모차르트 자신의 지휘로 초연이 진행되어 대성공을 거두었다.모차르트는 이탈리아 오페라 양식을 배우면서, 이 오페라의 성공으로 다음 해 1771년에 『알바의 아스카니오』, 『루치오 실라』 등도 작곡했다.[1]
3. 대본
비토리오 아마데오 치냐 산티의 텍스트, 주세페 파리니 번역의 장 라신 비극에 의한 것이다.
3. 1. 원작 및 각색
장 라신의 비극을 바탕으로, 비토리오 아마데오 치냐 산티가 이탈리아어 대본(리브레토)을 작성하였다.[1]4. 등장인물 및 배역
wikitext
역할 | 성악 | 초연 배역 (1770년 12월 26일, 지휘: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
미트리다테 | 테너 | 굴리엘모 데토레 |
아스파시아 | 소프라노 | 안토니아 베르나스콘 |
시파레 | 소프라노 카스트라토 | Pietro Benedetti|피에트로 베네데티cs (사르토리노) |
파르나체 | 알토 카스트라토 | 주세페 치코냐니 |
이스메네 | 소프라노 | 안나 프란체스카 바레세 |
마르치오 | 테너 | 가스파로 바사노 |
아르바테 | 소프라노 카스트라토 | 피에트로 무스키에티 |
4. 1. 주요 등장인물
역할 | 성악 | 설명 |
---|---|---|
미트리다테 | 테너 | 폰토스의 왕 |
아스파시아 | 소프라노 | 미트리다테의 약혼녀 |
시파레 | 소프라노 | 미트리다테의 아들 |
파르나체 | 알토 | 미트리다테의 장남 |
이스메네 | 소프라노 | 파르티아 왕의 딸 |
마르치오 | 테너 | 로마의 호민관 |
아르바테 | 소프라노 | 님파이아의 총독 |
4. 2. 조연
4. 3. 초연 배역 (1770년)
역할 | 성악 | 초연 배역 |
---|---|---|
아르바테, 님파이아의 총독 | 소프라노 카스트라토 | 피에트로 무스키에티 |
시파레, 미트리다테의 아들 | 소프라노 카스트라토 | Pietro Benedetti|피에트로 베네데티cs (사르토리노) |
아스파시아, 왕비, 미트리다테와의 결혼 약속 | 소프라노 | 안토니아 베르나스콘 |
파르나체, 미트리다테의 장남 | 알토 카스트라토 | 주세페 치코냐니 |
마르치오, 로마 군단 장교 | 테너 | 가스파로 바사노 |
미트리다테, 폰토스 왕 | 테너 | 굴리엘모 데토레 |
이스메네, 파르티아 공주 | 소프라노 | 안나 프란체스카 바레세 |
5. 줄거리
기원전 63년 로마 공화국과 폰토스 왕국 간의 갈등 시기에 크림 반도의 님파이온 항구 주변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1] 폰토 왕 미트리다테가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했다는 잘못된 소식이 전해지자, 그의 약혼녀 아스파시아는 두 아들 시파레와 파르나체에게 맡겨진다.[1]
아스파시아에게 마음을 품고 있던 파르나체는 그녀에게 접근하지만, 아스파시아는 시파레에게 보호를 요청한다.[1] 두 왕자는 갈등하지만, 미트리다테가 살아 돌아왔다는 소식에 싸움을 멈추고 아버지를 맞이하려 한다.[1] 파르나체는 미트리다테를 배신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시파레는 아버지에게 충성하려 한다.[1]
미트리다테는 파르나체의 신부인 이스메네와 함께 배에서 내린다.[1] 미트리다테는 두 아들의 아스파시아에 대한 태도를 시험해 보려 했고, 파르나체의 행동에 분노하며, 시파레의 태도에는 안도한다.[1] 이후, 미트리다테는 파르나체가 로마와 내통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복수를 계획한다.[1] 미트리다테는 아스파시아가 시파레를 사랑한다는 고백을 듣고 복수를 맹세하고, 아스파시아와 시파레는 함께 자살하려 한다.[1]
로마군이 님파이움에 침공하자, 미트리다테는 전투에 나선다.[1] 전투에서 패배한 미트리다테는 자결을 택하고, 죽기 전 시파레와 아스파시아를 축복하고, 파르나체를 용서하며 이스메네와의 결혼을 허락한다.[1] 시파레와 아스파시아, 파르나체와 이스메네, 두 쌍의 연인이 맺어지고, 미트리다테는 평안히 숨을 거둔다.[1] 등장인물들은 폰토를 비롯한 동방의 나라들이 로마에 굴복하지 않고 계속 저항할 것을 다짐한다.[1]
5. 1. 1막
크림 반도의 님파이온 항구 주변에서, 기원전 63년 로마 공화국과 폰토스 왕국 간의 갈등 시기에 이야기가 시작된다.[1] 미트리다테가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했다는 잘못된 소식이 총독 아르바테에 의해 미트리다테의 약혼녀 아스파시아와 그의 아들 파르나체, 시파레에게 전해진다.[1]님파이움의 총독 아르바테는 시파레를 맞이한다.[1] 시파레는 로마인과 강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는 형제 파르나체를 싫어한다.[1] 아르바테는 시파레에게 충성을 맹세한다.[1] 아스파시아는 파르나체의 접근을 막아달라고 시파레에게 간청하고, 시파레는 그녀의 간청을 받아들이며 그녀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드러낸다.[1]
파르나체는 아스파시아에게 구애하지만, 아스파시아는 시파레의 도움을 받아 거절한다.[1] 이때 미트리다테가 살아있고 도시로 오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1] 아르바테는 형제들에게 아버지 미트리다테를 맞이하라고 촉구한다.[1] 형제들은 아스파시아에 대한 감정을 숨기기로 동의한다.[1] 파르나체는 로마 군단 장교 마르치오와 미트리다테에 대항하는 음모를 꾸민다.[1]
미트리다테는 그의 동맹 파르티아 왕의 딸인 공주 이스메네와 함께 님파이움 해안에 도착한다.[1] 미트리다테는 파르나체가 이스메네와 결혼하기를 원한다.[1] 이스메네는 파르나체를 사랑하지만, 자신의 미래에 대해 걱정한다.[1] 아르바테는 미트리다테에게 파르나체가 아스파시아를 쫓고 있다고 말하고, 질투심에 사로잡힌 미트리다테는 파르나체에게 복수할 것을 맹세한다.[1]
흑해 연안의 폰토스 왕 미트리다테는 로마와의 전쟁에 출정하면서, 약혼녀 아스파시아를 두 아들 시파레와 파르나체에게 맡겼다.[1] 미트리다테가 전사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아스파시아에게 마음을 품고 있던 파르나체는 아스파시아에게 접근한다.[1] 아스파시아는 시파레에게 보호를 요청하고, 파르나체는 아스파시아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 하지만, 그녀는 이를 거부한다.[1] 두 왕자는 다투지만, 님페아의 영주 알바테가 나타나 둘을 만류하며 "미트리다테는 살아 있으며, 님페아 항구로 돌아왔다"고 알린다.[1] 두 사람은 싸움을 멈추고 미트리다테를 맞이하려 한다.[1] 하지만 파르나체는 미트리다테를 배신하려 하고, 시파레는 아버지에게 따르려는 마음을 버리지 않았다.[1] 로마의 호민관 마르치오가 등장하여, 파르나체에게 로마 편으로 돌아서도록 권한다.[1]
장면은 항구로 바뀌고, 미트리다테는 파르나체의 신부인 이스메네를 데리고 배에서 내린다.[1] 시파레와 파르나체도 아버지를 맞이하러 온다.[1] 이스메네는 파르나체와의 재회에 마음이 동요하지 않고, 알바테에게 미트리다테는 자신이 전사했다는 보고를 흘려 두 아들의 아스파시아에 대한 태도를 시험해 보려 했다고 밝힌다.[1] 알바테가 두 왕자의 태도에 대해 보고하자, 미트리다테는 파르나체의 행동에 격노하고, 시파레의 태도에는 안도한다.[1]
5. 2. 2막
파르나체는 아스파시아에게 구애하지만, 시파레의 도움으로 아스파시아는 이를 거절한다. 미트리다테가 살아있고 폰토 왕국으로 오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아르바테는 형제들에게 아버지 미트리다테를 맞이하기 위해 서로의 갈등을 숨기라고 한다. 형제들은 아스파시아에 대한 감정을 숨기기로 합의한다. 한편, 파르나체는 로마 군단 장교 마르치오와 함께 미트리다테에 대항하는 음모를 꾸민다.[1]미트리다테는 파르나체가 로마인들과 공모하여 자신을 해하려는 음모를 알고, 마르치오가 평화를 제안했음에도 불구하고 복수를 계획한다. 미트리다테는 파르나체를 체포하여 처형하려 하지만, 이스메네의 도움으로 파르나체는 목숨을 건진다. 파르나체는 자신의 배신을 인정하면서도 시파레를 끌어들인다. 미트리다테는 아스파시아가 시파레에 대한 사랑을 고백하도록 유도하고 복수를 다짐한다. 아스파시아와 시파레는 미트리다테의 위협에 두려워하며 함께 죽기를 바란다.[1]
미트리다테는 이스메네에게 파르나체가 아스파시아에게 흑심을 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로마와 내통하고 있는 배신자라고 말한다. 미트리다테는 두 아들을 불러 로마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로마를 공격하겠다고 선언한다. 파르나체는 망설이지만, 시파레는 자신이 직접 로마 공격을 맡겠다고 나선다. 로마의 호민관 마르치오가 나타나자 미트리다테는 격노하며 그를 쫓아낸다. 아버지의 분노를 본 파르나체는 동생 시파레야말로 아스파시아의 연인이라고 폭로한다. 이에 미트리다테는 진실을 확인하기 위해 시파레를 텐트 뒤에 숨기고 아스파시아에게 함정을 파서, 그녀가 시파레를 사랑한다는 고백을 듣는다. 진실을 알게 된 미트리다테는 복수를 맹세한다. 남겨진 아스파시아와 시파레는 함께 자살하려고 한다.[1]
5. 3. 3막
로마군이 님파이움에 침공하자, 미트리다테는 전투에 나선다. 아스파시아는 독약을 마시고 자살하려 하지만, 시파레가 나타나 그녀를 구한다. 시파레는 아스파시아를 맡기고 아버지 미트리다테와 함께 전쟁에 나가겠다고 말한다.[1]전투에서 패배한 미트리다테는 포로가 되느니 자결을 택한다. 그는 죽기 전, 시파레와 아스파시아를 축복하고, 마음을 바꿔 자신에게 충성하기로 한 파르나체를 용서하며 이스메네와의 결혼을 허락한다. 시파레와 아스파시아, 파르나체와 이스메네, 두 쌍의 연인이 맺어진다. 미트리다테는 평안히 숨을 거두고, 등장인물들은 폰토를 비롯한 동방의 나라들이 로마에 굴복하지 않고 계속 저항할 것을 다짐한다.[1]
6. 악기 편성
플루트 2, 오보에 2, 호른 4, 바순 2, 트럼펫 2, 바이올린 2부, 비올라 2부, 첼로, 베이스, 팀파니, 통주 저음 (쳄발로 또는 첼로)
7. 유명 아리아
'''제1막'''
등장인물 | 아리아 |
---|---|
시파레 | "Soffre il mio cor con pace" |
아스파시아 | "Nel sen mi palpita" |
시파레 | "Parto : nel gran cimento" |
미트리다테 | "Quel ribelle" |
미트리다테 | "Se di lauri" |
이스메네 | "In faccia all'oggetto" |
아르바테 | "L'odio nel cor" |
아스파시아 | "Al destin che la minaccia" |
시파레 | "Soffre il mio cor" |
파르나체 | "Venga pur, minacci" |
'''제2막'''
등장인물 | 아리아 |
---|---|
미트리다테 | "Già di pietà mi spoglio" |
시파레 | "Lungi da te" |
아스파시아 | "Nel grave tormento" |
이스메네 | "So quanto a te" |
파르나체 | "Son reo; l'error confesso" |
미트리다테 | "Tu che fedel" |
파르나체 | "Va, l'error mio palesa" |
'''제3막'''
등장인물 | 아리아 |
---|---|
아스파시아 | "Ah ben ne fui presaga…Pallid' ombre" |
파르나체 | "Già dagli occhi" |
마르치오 | "Se di regnar" |
시파레 | "Se il rigor d'ingrata sorte" |
이스메네 | "Tu sai per che m'accese" |
미트리다테 | "Vado incontro" |
1901년, 샤를 말레르브는 14세에 작곡된 오페라 ''폰토 왕 미트리다테''의 소프라노 아리아를 포함하여 이전에 분류되지 않은 모차르트의 작품을 발견했다. 그해 파리에서 카미유 푸리에가 공연했다.[2]
8. 음반 및 영상
- 1971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오케스트라, 레오폴트 하거 지휘 (에다 모저, 알린 오거, 헬렌 와츠, 필라 로렌가, 페터 슈라이어, 페터 베일리, 라인가르트 디두쉬) (CD)
- 1977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오케스트라, 레오폴트 하거 지휘 (베르너 홀베크, 알린 오거, 에디타 그루베로바, 아그네스 발차, 일리애나 코트루바스, 데이비드 퀴블러, 크리스틴 바이딩거) (CD)[3]
- 1986년: 장-피에르 포넬 연출 영화,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지휘 (고스타 빈베르, 이본느 케니, 앤 머레이) (DVD)
- 1986년: 리옹 오페라 (장-클로드 폴 감독), 테오도르 구슐바우어 지휘 (로크웰 블레이크, 애슐리 퍼트남, 이본느 케니, 브렌다 부저) (DVD)
- 1993년: 로열 오페라 하우스, 폴 다니엘 지휘 (브루스 포드, 요헨 코발스키, 앤 머레이, 루바 오르고나쇼바) (DVD)
- 1997년: 잘츠부르크 모차르트 주간, 로저 노링턴 지휘 (브루스 포드, 베셀리나 카사로바, 신디아 시덴, 크리스티안 오엘제) (CD)
- 1998년: 크리스토프 루세 지휘 (주세페 사바티니, 브라이언 아사와, 체칠리아 바르톨리, 나탈리 데세) (CD)
- 2001년: , 지휘 (마르셀 레이안스, , , 요한네테 조머) (CD)
- 2006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마크 민코프스키 지휘 (리처드 크로프트, 베준 메타, 미아 페르손) (DVD)
- 2013년: 고전 오페라 오케스트라, 이안 페이지 지휘 (배리 뱅크스, 미아 페르손, 소피 베번) (CD)
- 2023년: 오페라 네오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4]
다음은 많은 녹음의 예시이다.
- 크리스토프 루세 지휘, 레 탈랑 리리크 (CD)
- 레오폴트 하거 지휘,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오케스트라 (CD)
- 폴 다니엘 지휘, 코벤트 가든 왕립 극장 관현악단 (DVD)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지휘, 빈 콘첸투스 무지쿠스 (DVD)
- 마르크 민코프스키 지휘, 레 뮤지시앙 뒤 루브르(루브르 궁 음악대) (DVD)
참조
[1]
서적
Josef Mysliveček, "Il Boemo"
Harmonie Park Press
[2]
서적
The Monthly Musical Record
https://books.google[...]
2024-12
[3]
서적
The Complete Mozart Edition
Philips Classics Records
[4]
Youtube
"Opera Neo: ''Mitridate, re di Ponto''"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